컴퓨터가 알아서 돈 복사? 퀀트 투자의 모든 것 4단계로 알아보기

혹시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을 기억하시나요? 🤖

인간의 직관과 경험을 뛰어넘는 컴퓨터의 압도적인 계산 능력에 전 세계가 놀랐었죠.

만약 알파고 같은 천재적인 인공지능이 주식 투자를 한다면 어떨까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최고의 수만 찾아내는 투자 말이에요.

오늘 이야기할 ‘퀀트 투자’가 바로 그 상상에 가장 가까운 투자 방식이랍니다.

어쩐지 이름부터 어렵고 낯설게 느껴지신다고요?

걱정은 붙들어 매세요!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아하, 퀀트 투자가 바로 이거였구나!’ 하고 무릎을 탁 치시게 될 테니까요. (무릎 조심하세요. 탁 치다 멍들 수 있습니다.)

🧐 그래서, 퀀트 투자가 대체 뭔가요?

가장 중요한 개념부터 확실히 짚고 넘어가죠.

퀀트 투자(Quantitative Investing)란, ‘계량적(Quantitative)’ 분석을 통해 투자 전략을 만들고, 사람의 감정이나 직관을 배제한 채 알고리즘을 이용해 시스템적으로 매매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조금 더 쉽게 풀어볼까요?

우리가 맛집을 찾을 때, ‘왠지 저 집이 맛있을 것 같아’라는 ‘감’으로 가는 방법이 있고, 별점, 후기 개수, 재방문율 같은 ‘데이터’를 분석해서 가는 방법이 있죠. 💯

퀀트 투자는 후자에 가깝습니다.

‘이 회사는 미래가 밝아 보여!’ 같은 주관적인 판단 대신, ‘지난 10년간 이익이 꾸준히 증가했고, 부채 비율이 낮으며, 주가수익비율(PER)이 업계 평균보다 낮은 주식은 오를 확률이 높다’와 같은 명확한 규칙(Rule)을 만드는 거죠.

그리고 그 규칙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서, 조건에 맞는 주식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사고팔게 시키는 겁니다.

한마디로 ‘감’으로 투자하는 게 아니라 ‘계산기’로 투자하는 셈입니다. 그것도 아주 빠르고 똑똑한 슈퍼컴퓨터 계산기로요!

⚙️ 퀀트 투자는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나요?

“규칙을 만들어서 자동으로 한다니, 말은 쉽지!” 라고 생각하셨나요? 맞습니다. 그 규칙을 만드는 과정이 바로 퀀트 투자의 핵심이죠. 보통 다음과 같은 4단계를 거칩니다.

  1. 아이디어 발굴 (전략 수립): 어떤 규칙이 돈을 벌어다 줄지 아이디어를 내는 단계입니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이 작지만 흑자를 내는 기업에 투자하자’ 또는 ‘최근 3개월간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거래량은 줄어든 주식은 피하자’ 같은 가설을 세우는 거죠. 마치 과학자가 실험 전에 가설을 세우는 것과 같아요. 🔬
  2. 백테스팅 (전략 검증): 세운 가설(전략)이 과거에도 정말 돈을 벌어다 줬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과거 수십 년 치의 주식 데이터를 컴퓨터에 넣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는 거죠. 만약 과거 데이터로 돌려봤는데 수익률이 형편없다면? 그 아이디어는 쓰레기통으로 직행입니다. (잘 가, 내 아이디어…🗑️)
  3. 자동화 (전략 실행): 백테스팅을 통과한 유망한 전략을 실제 투자에 적용하는 단계입니다. 사람이 직접 주식 앱을 켜고 주문을 넣는 게 아니라, 미리 짜놓은 프로그램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매수/매도 주문을 실행합니다. 컴퓨터는 우리처럼 회의 시간에 몰래 주식 창을 보거나, 화장실 가서 주문할 필요가 없죠.
  4. 리스크 관리 및 최적화: 시장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잘 작동하던 전략도 언젠가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전략의 성과를 점검하고,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맞게 규칙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계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처럼, 여러 퀀트 전략을 동시에 운영하며 위험을 분산하기도 합니다.
퀀트 투자의 4단계 과정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아이디어, 백테스팅, 자동화, 수익화 단계가 화살표로 연결되어 있다.
퀀트 투자의 핵심 4단계 프로세스

👍 퀀트 투자의 장점 vs 단점 👎

모든 투자 방식이 그렇듯, 퀀트 투자 역시 장점과 단점이 명확하게 존재합니다.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할 수 있죠.

퀀트 투자의 장점 3가지

  • 🧠 감정 배제: 퀀트 투자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주가가 폭락할 때 공포에 질려 ‘패닉 셀’을 하거나, 주가가 조금만 올라도 조급함에 팔아버리는 실수를 막아줍니다. 오직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이죠.
  •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카더라’ 통신이나 근거 없는 루머가 아닌, 철저히 검증된 데이터와 통계에 기반하여 투자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꾸준한 수익을 낼 확률을 높여줍니다.
  • disciplined and systematic approach, sticking to the plan.체계적인 원칙 준수: “손절매 원칙을 지켜야지” 다짐해놓고 막상 파란불이 뜬 계좌를 보면 망설여지는 게 사람 마음이죠. 퀀트 투자는 이런 ‘인간적인’ 고뇌 없이 세워둔 원칙을 칼같이 지킵니다.

퀀트 투자의 단점 3가지

  • ⚫🦢 블랙 스완(Black Swan)의 위험: 백테스팅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나 코로나19 팬데믹처럼 과거에는 없었던, 예측 불가능한 극단적인 사건(블랙 스완)이 발생하면 기존 전략이 완전히 무너질 수 있습니다.
  • 📉 과최적화(Overfitting)의 함정: 과거 데이터에 너무 완벽하게 들어맞는 전략을 만들다 보면, 오히려 미래의 실제 시장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과최적화’의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 과거 시험 족보만 달달 외운 학생이 신유형 문제에 약한 것과 비슷해요.
  • 🤖 높은 진입 장벽: 성공적인 퀀트 투자를 위해서는 통계학, 금융공학, 코딩 등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물론 최근에는 일반인도 쉽게 퀀트 투자를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이나 관련 ETF 상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진입 장벽이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결론적으로 퀀트 투자는 ‘무조건 돈을 버는 마법 지팡이’가 아닙니다. 🪄

투자의 세계에서 불확실성을 줄이고, 감정적인 실수를 방지하며, 통계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매우 강력하고 과학적인 ‘도구’라고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이제 누군가 “퀀트가 뭐야?”라고 묻는다면, 어깨를 쫙 펴고 멋지게 설명해 줄 수 있겠죠?

(물론, 투자와 수익률은 각자의 책임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

댓글 남기기